엄밀히 말하면 모공확대가 피부 질환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미용적인 관점에서 보다 섬세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원하기 때문에 모공축소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그에 맞춰서 에너지 기반 미용 의료기기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레이저, RF, 초음파 기기들에서 노화성 모공에 효과적인 장비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 중에서 비침습형태의 프랙셔널 레이저를 집중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또한 적절한 파라미터와 스팟 사이즈, 에너지 출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1.
모공확장의 원인과 분류
모공확장은 모낭 피지선의 배출관 단면적이 0.02㎟
를 초과하여 피부 표면에 울퉁불퉁한 모양을 만든 것을 말합니다. 모공확장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부위는
콧날개(66.57%) > 코끝(59.55%)>뺨(58.46%) 순입니다.
모공이 커진다는 것은 내부의 형태과 구조를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확장된
모공의 주위 각질세포가 깔때기 모양으로 연장되고, 진피와 표피의 접점인 DEJ가 종유석 모양으로 불규칙한 구조를 띠게 되고, 모낭 주위에
관모양의 거친 콜라겐 섬유가 증가하여, 콜라겐 네트웍이 무너지게 됩니다. 이런 구조를 띠는 원인은 보체 시스템에 의한 염증반응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구요. (라이언 아카데미 뉴스레터 24년3월 내용 참고)

[그림 1 : 피지분비와 SL구조, 모공크기와의 상관관계. 피지
매개 염증은 SL구조의 형성을 돕고, 모공을 확장시킨다. (A) 모공확장의 구조적 특징 – 석순모양 (StaLagmite, SL) 구조, (B) 불포화지방산으로 유도된 비정상적인 진피구조 / 자료출처 : Potential role of inflammaging mediated by the complement system
in enlarged facial pores, Wei Qiu, Feng Chen, Xiaoyue Feng, Jianli Shang,
Xingyi Luo, Yong Chen, J Cosmet Dermatol. 2024 Jan;23(1):27-32. ]
모공이 확장되면서 상층부와 심층부 피부간 콜라겐의 밀도차가
벌어지고, 진피 심층의 콜라겐 밀도가 낮아지면서 모낭주위 관모양 구조가 두꺼워지고, 피부 장력을 변화시키게 됩니다.
결국 피지선 관은 점점 벌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이 표피에 까지 확장되면 모공확장이 확연해지는 것이죠. 피지분비량 과다가 모공확장의 주요
원인인 것은 맞지만 모공 주위 피부탄력이 감소하고, 지지력이 감소해서 오는 노화형 모공확장은 모공주위
조직의 병리학적 변화를 수반하는 것입니다.
2.
모공 확장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법
1)
피지분비가 왕성해서 모공이 커지는
경우는 트레티노인과 같은 피지억제 약물을 복용하거나 보톡스를 국소 주사할 수 있고, 피지선에 직접 작용하는
레이저시술도 가능합니다.


[그림 2 : 보톡스를 이용한 피지억제와 항염, 피지선에 작용한 1450nm 레이저]
2)
안면부 항노화 시술을 통해 노화로
인한 모공축소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기반 미용의료기기를 통한 전반적인 개선률은 18~35% 입니다.

[그림 3 : 침습, 비칩습
프랙셔널 레이저의 작용 방법]
모공확장에대한 프랙셔널 레이저의 기법은 침습, 비침습 모두 가능합니다. 여기에는
CO2, Er:YAG, Thulium, Er:glass, Nd:YAG 레이저가 다 포함되는 것이구요.
이외에도 화학박피, MTS, RF 니들도 많이 사용되는 시술법들입니다.
3.
비침습 프랙셔널 레이저는 모공확장에
어느정도 효과를 보일까요?
피부 항노화 시술을 받은 70명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이들의 증상은 모공확장, 피부 탄력 감소에
의한 처짐, 주름, 피부 결의 변화였고, 프락셀(Fraxel) 레이저를 이용하여 시술을 진행하였습니다. 파장은 1550nm, 커버리지
11~14%, 출력은 25~40mJ 로 총 6~8
pass 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모공 확장과 피지분비 과다 15례를 선정하여 1565nm의 비침습 프랙셔널 레이저 3회 치료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후 결과를 비교한 연구 결과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4.
비침습 프랙셔널 레이저(Non Ablative Fractional Laser, NAFL) 파라미터
1) 1565nm 프랙셔널 레이저(M22, Lumenis, USA) : 200~300 dot/㎠ , 에너지밀도 20~40 J/㎠, 1~2pass, 치료간격 3~4주, 4회 이상 치료

2)
1550nm
프랙셔널 레이저(Mosaic, Lutronic,
KOREA) : 400~900 dot/㎠ , 에너지밀도 20~28
J/㎠, 1pass, 치료간격 1달, 3회 이상 치료

3) 1440nm 프랙셔널 레이저(Clear+Brillian,
Solta, USA) : 500 dot/㎠ , 에너지 4~9 mJ,
8pass, 치료간격 2주, 6회 이상 치료

4)
1410nm
프랙셔널 레이저(Fraxel Re:fine,
Solta, USA) : 커버리지 20%,, 에너지 15~20mJ,
치료간격 3주, 3회 이상 치료

5)
1064nm
프랙셔널 레이저(Picocare, Wontech,
KOREA) : MLA, 8mm, 450ps, 에너지밀도 0.6~0.8 J/㎠, 10Hz, 치료간격 2주, 5회
이상 치료

6)
1064nm
프랙셔널 레이저(Enlighten, Cutera,
USA) : MLA, 8mm, 2ns + 660/750 ps, 에너지밀도 0.8 J/㎠, 5Hz, 치료간격 4주, 3회
이상 치료

7) 1064nm 프랙셔널 레이저(Picoway, Candela, USA) : DOE, 6x6mm, 450 ps, 에너지밀도 0.16-2.9 J/㎠, 8~10Hz, 치료간격 4주, 3회 이상 치료


[사진출처 : Candela casebook / 광노화의
여러가지 증상을 개선 시키기 위해 595nm V beam과 1064
Picoway 병합시술한 케이스로, 3A, 4A는 시술전,
3B, 4B는 시술후이다. 혈관상태를 보기위해 3A,B는
교차편광(cross polarized) 촬영되었고, 4 A,B는
피부결을 보기위해 평행편광(parallel polarized) 촬영되었다.]
8)
755nm 프랙셔널 레이저(Picosure, Cynosure, USA) : MLA,
6mm, 750 ps, 에너지밀도 0.71 J/㎠, 10Hz, 치료간격 4주, 2회
이상 치료

치료의 엔드 포인트는 홍반과 부종이며, 1064nm 파장의 프랙셔널 레이저는 점상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요약
1) 비침습 프랙셔널 레이저 (1064, 1565, 1550nm) 는 시술후 회복기가 짧고, PIH의 위험성도 낮은 반면, 피부 탄력을 높여주고, 피지선 분비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침습형 프랙셔널 레이저(10600, 2560nm)는 표피 개선의 효과가 동반되어 회복기는 길지만 피부톤 및 흉터의 개선이 더 명확합니다. 하지만 침습 레이저의 특징상 피지 생성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고, PIH우려가 더 높습니다.
3) 1064nm 피코 프랙셔널 레이저는 이러한 비침습 프랙셔널 레이저 중에서 PIH 발생 위험성을 더 낮출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