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세상에 이런일이...]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한 기미치료법

  • 작성자 Ryan
  • 작성일 2024-12-29
visibility 85

모두 알다시피 기미는 후천성 색소질환으로 다양한 인종에 영향을 미칩니다.


안면부에 대칭적으로 갈색 또는 흑회색의 반점형태로 나타나며, 햇빛에 노출되면 심해집니다. 심리적으로나 삶의 질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치료 욕구가 큰 질환이기도 합니다.


기미의 정확한 발병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자외선과 여성호르몬이외에도 유전적인 민감성도 영향을 미칩니다. 지나치게 활성화된 멜라닌 세포와 멜라닌 분비의 항진이 기미의 주요 병리현상이며, 병변부위에서 발견되는 MMP-2, MMP-9의 작용으로 기저막 손상이 증가하고, 이어서 멜라닌 세포의 수지상 돌기와 멜라닌 색소들이 진피층에서도 발견됩니다.


다양한 치료법에도 불구하고, 기미치료는 여전히 도전해야할 과제임에 틀림없습니다. 주요 치료목표는 멜라닌 세포의 활동을 억제하고, 멜라노솜의 합성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분해를 촉진해야 합니다. 염증성 세포가 분비하는 IL-1a, IL-1b, IL-6, MMP-2, MMP-9, VEGF, PG-E2, PG-D2 등의 사이토카인들은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수지상 돌기를 자라게 하고,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켜 기미의 발생에 관여하고, MSH TRP-1, 티로시나제와 같은 효소를 활성화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이러한 사이토카인에 대한 억제효과를 통해 기미에 대한 치료효과를 낸다고 여겨지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기미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 및 관련 세부사항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해 트리암시놀론과 클리그만 포뮬라 치료를 대조군으로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1.    연구소개

 

본 연구에는 44명의 성인 여성이 참여했고, 임신, 수유, 기타 색소질환, 모세혈관 확장증, 호르몬치료 및 스킨케어 제품 사용자를 배제하였습니다. MASI 점수에 따라 반점의 심한 정도를 평가하였고, 가벼운 정도(1~16), 중간 정도(16~32), 심한 정도(32~48)로 분류하였습니다. 모든 환자는 치료전을 비롯하여 시술때마다 피부경 검사를 통해 모세혈관 확장 및 피부위축으로 인한 오류를 베제하고 부작용등을 기록하였습니다



[1 : 모든 환자의 임상 결과 기록]


2.    치료방법

 

그룹1 22명으로 인슐린 주사기로 병변내 트리암시놀론 4mg/ml을 주사하고, 부위마다 1cm의 간격으로 회당 20mg을 초과하지 않았습니다. 기미가 제거될 때 까지 1달에 1회 시술했으며, 가장 많이 시술된 것이 4회였습니다.

 

그룹2는 대조군으로 22명입니다. 클리그만 포뮬라(5% 하이드로퀴논, 0.1% 트레티노인, 0.1% 덱사메타손) 연고를 저녁에 바르고 잠을 자며, 최대 3개월동안 사용합니다.

 

두 치료 방법의 효과는 치료종료시 MASI 점수의 감소 비율에 따라 평가되었습니다. (MASI가 감소하지 않으면 무효과: MASI 감소 25% 미만이면 효과불량 : MASI 수치25~50% 감소이면 중등도 효과 : MASI 수치 50~75% 감소하면 효과 양호 : MASI 감소 75% 이상이며 효과우수 ) 또한 환자의 만족도 등급 (등급0=불만족, 등급1=부분 또는 중등도 만족, 등급2=매우 만족하지만 완전하지 않음, 등급3=완전 만족)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연구기간동안 두가지 방법에 대한 부작용이 기록되었고, 모든 참가자에게 4개월동안 추적 조사하여 재발여부를 확인하였습니다.

 

통계적 분석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산으로 분석됩니다




[2 : 연구 그룹 사이의 MASI 비교]


[3 : 연구 그룹 사이의 치료반응]



3.    연구결과

 

두 그룹은 표1에서 보다시피 통계 및 임상 데이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대조군과 비교해서 트리암시놀론 주사 치료후 기미의 심한 정도는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트리암시놀론 주사 그룹에서 치료후 3개월 동안의 MASI 평균(7.8±8.11)이 기준선의 MASI 평균(15.35±11.3)보다 현저히 낮았고, 클리그만 포뮬라 그룹 역시 치료후 3개월 동안의 MASI 평균(7.57±8.64)은 기준선의 MASI 평균(16±12.92)보다 현저히 낮았습니다. 두 그룹의 환자 모두 치료기간 동안 MASI 점수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입니다. (2,3)

 

환자만족도

 

트리암시놀론 그룹의 환자 5(22.7%)은 완전히 만족했다면, 클리그만 포뮬라 그룹의 환자 8(36.4%)이 완전히 만족했다고 했습니다. 3 을 보면 치료 반응이나 환자 만족도에 있어서 두 그룹의 차이는 크게 없었습니다.

주사시 가벼운 통증을 제외하고는 트리암시놀론 주사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고, 클리그만 포뮬라 그룹은 피부염 및 작열감 같은 자극 증상이 있었습니다.

추적 4개월 동안 트리암시놀론 그룹에서만 1(4.5%), 클리그만 포뮬라 그룹에서는 3(13.6%) 에게서 재발성 기미가 나타났습니다.  



[그림1 : 혼합성 기미, 시술전 (A)와 국소 트리암시놀론 주사후 (B)]



 

[그림2 : 표피형 기미로 국소 트리암시놀론 주사에 좋은 반응을 보였다. 시술전(A), 치료후 3개월(B)]



[그림3 : 혼합형 기미로 국소 트리암시놀론 주사에 대한 중등도 반응을 보였다. 시술전 (A), 치료후 3개월(B)]


4.    연구 결론

 

이 연구에 따르면 4차례 트리암시놀론 피부 주사후 기미의 심각한 정도가 크게 감소하고, 클리그만 포뮬라와의 임상적인 효과 차이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습니다.


자외선은 기미의 주요 원인입니다. 또한 멜라닌세포의 활성을 자극하기 때문에 만성적으로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MMP-2, MMP-9이 분비되어 세포외기질의 분해와 기저층의 붕괴를 낳습니다. 기저막의 붕괴는 멜라닌의 진피전파를 낳아서 진피형 기미라는 난치상태를 만들게 됩니다. 스테로이드의 치료효과는 염증성 매개체들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MMP-2, MMP-9, IL-1a, IL-1b, IL-6, MMP-2, MMP-9, VEGF, PG-E2, PG-D2등이 기미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들입니다.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작은 멜라닌세포내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론은 Eshghi의 연구 결과 와도 일치하는데, 그들 역시 트리암시놀론 주사후 기미의 현저한 개선을 보고하였기 때문입니다.


클리그만 포뮬라는 기미를 치료하는 상용 치료법이며, 이번 연구에서도 대조군으로 실시되었습니다. 클리그만 포뮬라의 효과는 이전의 다양한 연구에서 입증되었는데, 이는 이번 연구 결과와도 일치합니다. (MASI 지수 : 16±12.92에서  7.57±8.64로 감소)


낮은 농도의 트리암시놀론 국소 주사가 클리그만 포뮬라와 비교해서 효과는 비슷한데 반해 부작용 우려가 적은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사시 발생하는 작은 통증외에 특별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4개월의 추적 조사결과 재발률에 있어서도 더 적게 나타났습니다.


 

참고자료

1.    Nassar AAE, Ibrahim A-SM,Mahmoud AA. Efficacy and safety of 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melasma. J Cosmet Dermatol.2020;00:1–6. https://doi.org/10.1111/jocd.13628

2.    Sarkar R, Ailawadi P. Treatment of melasma: The journey ahead. Indian J Dermatol. 2017;62(6):555.

3.    Kong SH, Suh HS, Choi YS. Treatment of Melasma with Pulsed-Dye Laser and 1,064-nm Q-Switched Nd: YAG Laser: A Split-Face Study. Ann Dermatol. 2018;30(1):1-7.

4.    Melnick S, Lohani S, Alweis R. Hyperpigmentation in a middle aged woman: a common yet underdiagnosed condition. J Commun Hosp Intern Med Persp. 2016;6(3):31544.


후기 : 거칠게 논문과 기타자료를 번역해보았는데... 핵심 논문은 인도에서 발표된 논문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rrow_upward

TOP